[원격근무 리포트] “직원 원격 근무 상황과 회사 측 지원 간 큰 격차”
[원격근무 리포트] “직원 원격 근무 상황과 회사 측 지원 간 큰 격차”
  • 박시현 기자
  • 승인 2021.01.21 09:51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델 테크놀로지스 ‘원격 근무 준비 지수’ 발표, “원격근무 제대로 운영 37%에 불과”

[디지털경제뉴스 박시현 기자] 델 테크놀로지스는 ‘원격 근무 준비 지수(RWR: Remote Work Readiness Index)’를 발표했다. 글로벌 조사전문기업 칸타와 함께 원격근무 관련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을 조사했다.

이번 조사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, 인도, 싱가포르, 호주, 인도네시아,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(APJ) 지역 7개 국가에서 성인 직장인 7,192명(한국 직장인 1,023명 포함)의 답변을 취합해 분석했다.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
◆“원격근무 위한 IT 기술 지원 불충분” = 설문에 응한 한국 직장인의 77%(APJ 지역 전체 81%)가 ‘장기적인 원격 근무에 어느 정도 준비되어 있다’고 답했으나, ‘본인이 근무 중인 회사에서 장기적으로 원격근무가 잘 운영될 것’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7%에 불과했다(APJ 지역 전체 46%).

또한, ‘회사 측에서 원격근무를 위한 IT 기술을 지원했는가’라는 질문에 ‘충분히 지원했다’라는 답변은 35%에 불과했으며(APJ 지역 전체 50%), ‘회사 측에서 성공적인 원격근무를 위해 적절한 인사(HR)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’고 답한 비율은 이보다 더 적은 30%(APJ 지역 전체 40%)에 그쳤다.

설문에 참여한 국내 직장인의 36%는 ‘장기적인 원격 근무 시에 업무시간과 사생활간 경계선이 불분명해질 것(APJ 지역 전체 34%)’을 가장 우려했으며, 업무생산성 향상을 위해 회사 측에서 업무용 기기, 소프트웨어, 협업용 툴, IT 기술지원, 새로운 정책과 프로그램 등 수많은 방면에서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.

이 같은 조사 결과는 기업들이 직원들이 직면한 문제를 파악해 보다 효과적인 장기 원격 근무를 위해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.

◆“원격근무용 IT 기기 지급되지 않았거나 성능 좋지 않아” = 원격근무에 필요한 IT 등 기술적인 문제에 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 27%는 ‘원격근무에 필요한 업무용 IT 기기가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거나 성능 및 기능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’고 답했다(APJ 지역 전체 28%).

이 같은 결과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재택근무가 확산되는 현 상황에서 직원들의 생산성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, 점차 커지고 있는 IT 보안 위험을 고려할 때 기업들이 특히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.

다음으로 26%는 ‘화상회의 등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툴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았거나, 사용법이 어려웠다’고 토로했으며(APJ 지역 전체 24%), 25%는 ‘인트라넷 등 회사 내부 시스템에 원격으로 접속하거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(APJ 전체 29%)’고 지적했다.

국내 직장인들이 필요로 하는 회사 측의 기술 지원으로 ‘원격근무 시 회사 시스템에 원활한 접속’이 38%((APJ 지역 전체 36%)로 가장 많았으며, 그 다음으로 ‘원격근무를 위한 IT 기기를 신규 지급하거나 더 나은 모델로 업그레이드는 37%(APJ 지역 전체 39%)’, ‘화상회의 등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툴은 33%(APJ 지역 전체 29%)’로 나타났다.

◆“원격근무 위한 정책 및 가이드라인 없어”= 원격근무를 위한 HR 관련 프로그램이나 정책에 대한 질문에 대해, 응답자들은 ‘원격근무를 위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정책 및 가이드라인이 없다(한국 44%, APJ 전체 38%)’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.

또한 ‘팀원간 협업 및 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부재(한국 41%, APJ 전체 37%)’, ‘화상회의 등 원격근무용 툴을 위한 직원교육의 부재(한국 40%, APJ 전체 39%)’ 등을 심각한 어려움으로 지목했다.

한국 직장인들이 필요로 하는 회사 측의 HR 지원으로는 ‘원격근무를 위해 새롭게 고안된 정책 및 가이드라인이 58%(APJ 지역 전체 43%)’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, 그 뒤를 이어 ‘팀원간 협업 및 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정책 또는 프로그램이 54%(APJ 지역 전체 46%)’, ‘화상회의 등 원격근무용 툴을 위한 직원교육은 48%(APJ 지역 전체 47%)’로 나타났다.

연령대 및 조직 규모에 따라 조사 결과 달라 = 한국 직장인 10명 중 6명 이상(APJ 지역 전체 71%)은 ‘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이전에 원격근무를 경험한 바 있다’고 답했지만, 세대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.

Z세대(만18~23세)의 81%와 밀레니엄 세대(만24~34세)의 74%는 사회적 거리두기 이전에도 원격근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지만, X세대(만35~54세)의 약 40%와 베이비붐 세대(만55세 이상)의 절반 가량은 이전에는 단 한번도 원격 근무를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.

조직 규모에 따른 격차 또한 컸다. 조직의 규모가 작을수록 원격근무를 조기에 시행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. 직원 수 1,000명 이상의 기업은 응답자의 40%가 ‘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 전에 원격 근무를 전혀 하지 않았다’고 답한 반면, 100명 미만의 소규모 기업에서는 응답자의 37%가 일주일에 최소 하루 이상 원격근무를 해왔다’고 답했다.

성공적인 원격근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한 질문에 한국 직장인들은 ‘회사 내부 시스템에 대한 접속 및 사용(42%)’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, 이는 직원 수 500~1000명 규모 조직(50%)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. 반면, APJ 지역 전체에서는 ‘원격 네트워크의 안정성(38%)’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봤고, 그 다음으로 ‘고정 근무시간 및 여가 시간의 보장(38%)’를 꼽았다.

원격 근무에 대한 문제점, 세대별로 달라 = 세대별로 원격 근무에 대해 느끼는 문제점도 달랐다.

HR 관련 질문에서 Z세대는 ‘팀원간 협업 및 팀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부재(47%)’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한 반면, X세대(48%) 및 베이비붐 세대(41%)는 ‘원격근무를 위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정책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’를 가장 큰 문제로 봤다. APJ 지역 전체에서 베이비붐 세대가 느끼는 가장 큰 HR 관련 문제는 대면 의사소통의 부재(35%)였다.

김경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총괄사장은 “다수의 기업들이 지난해부터 팬데믹으로 갑자기 원격 근무 체제를 시행하면서 조직과 직원들 모두 여러 문제에 직면하게 됐다. 직원들이 뉴 노멀에 적응하고 장기적으로 원격 근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IT 환경, HR 정책, 다양한 직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”라며, “중요한 것은 근무하는 ‘장소’가 아니라 업무의 ‘성과’이다. 미래지향적인 기업은 근무 장소와 상관없이 직원들이 회사에서의 역할과 개인적인 삶에 모두 충실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”고 밝혔다.

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 0
댓글쓰기
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·계정인증을 통해
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.